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대기권은 몇 층일까?

by 수구몽 2025. 7. 26.

우리가 숨 쉬는 공기부터, 비행기나 인공위성이 떠 있는 높이까지, 지구를 둘러싼 공기의 층을 우리는 ‘대기권’이라고 불러요. 그런데 ‘대기’가 한 겹이 아니라 층층이 쌓인 여러 구역으로 나뉘어 있다는 사실, 알고 있었나요? 심지어 각 층마다 성질도 다르고, 기상현상이나 위성의 위치 등도 달라서 과학자들은 이를 세심하게 구분해요. 이번 글에서는 ☁️ 대기권이 어떤 층으로 나뉘는지, 🌡 각 층의 특징은 무엇인지, 📡 그리고 일상에서 이 지식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알기 쉽게 정리해드릴게요.

 

대기권은 몇 층일까?
대기권은 몇 층일까?

🪂 대기권이란? – 5개의 층으로 나뉘는 지구의 공기층

대기권은 지구를 둘러싸고 있는 공기(기체)로 이루어진 구역이에요. 두께는 약 1,000km에 달하고, 우주로 나가기 전까지의 공간을 말하죠. 이 대기권은 기온의 변화 방식에 따라 다음과 같이 5개의 층으로 나뉘어요:

1️⃣ 대류권

• 지표면에서 약 10~15km까지

• 우리가 사는 곳, 비·눈·구름 같은 기상현상이 일어나는 구역

• 기온은 높이 올라갈수록 낮아짐

• 여객기 비행도 대부분 이 층 안에서 이뤄짐

2️⃣ 성층권

• 대류권 위 ~ 약 50km까지

• 오존층이 있는 곳으로 자외선을 흡수해 지구를 보호

• 기온은 높이 올라갈수록 오히려 상승

• 비행기가 흔들리지 않게 높은 고도로 갈 때 이 층을 활용

3️⃣ 중간권

• 성층권 위 ~ 약 85km까지

• 기온이 다시 낮아지며, 가장 차가운 층

• 유성이 대기와 마찰해 불타는 곳이기도 함

4️⃣ 열권

• 중간권 위 ~ 약 500km까지

• 태양 복사열을 많이 받아 기온이 수천 도까지 올라감

• 인공위성, 우주정거장 등이 이 층에서 운영됨

• 오로라도 이 층에서 발생

5️⃣ 외기권

• 지구 대기권의 마지막 층, 우주로 넘어가기 직전

• 공기 입자가 거의 없고, 실질적으로 우주 공간과 이어지는 경계라고 보면 됨

이처럼 대기권은 단순히 공기가 모여 있는 공간이 아니라 각 층마다 특징과 역할이 전혀 다른 다섯 개의 구역이에요.

 

🌍 각 층의 역할과 우리가 받는 영향

대기권이 여러 층으로 나뉜다는 건 단지 과학적인 구분만을 위한 게 아니에요. 우리의 삶과도 밀접하게 연결된 역할을 각각 맡고 있어요.

• 대류권에서는 날씨가 만들어지고, 우리가 숨 쉬는 공기가 대부분 이곳에 있어요. 기온이 지표에서부터 내려가면서 공기순환이 일어나고, 비·눈·바람이 생깁니다.

• 성층권은 오존층이 자외선을 막아주는 보호막 역할을 해요. 오존이 파괴되면 피부암, 농작물 피해 등 인류에 큰 피해가 생기죠. 이곳은 대기가 안정적이어서 장거리 비행 시 활용되기도 해요.

• 중간권은 상대적으로 관심이 덜하지만, 밤하늘에 별똥별처럼 떨어지는 유성이 불타 없어지는 곳이 이 층이에요. 우리가 안전하게 밤하늘을 감상할 수 있는 이유죠.

• 열권에서는 위성 통신, GPS, 우주과학 활동이 활발해요. 이 층 덕분에 우리는 내비게이션을 쓰고, 기상위성에서 정보를 받을 수 있어요. 또 극지방에서 볼 수 있는 아름다운 오로라 현상도 이 층에서 발생해요.

• 외기권은 공기 입자가 거의 없는 상태지만, 지구와 우주의 경계를 이어주는 의미 있는 층이에요. 위성이 우주로 나가기 전 마지막 단계라고 볼 수 있어요.

즉, 각 층은 기상·통신·우주 활동까지 전방위적으로 영향을 주는 공간이에요.

 

🧭 일상에서 대기권 지식을 활용하는 방법

“대기권을 알아서 내가 뭘 하게?” 싶을 수 있지만, 이런 지식은 날씨 이해, 항공, 뉴스 정보 해석에 큰 도움이 돼요.

✔ 기상 예보 이해도 높이기 • “성층권에 오존 구멍이 생겼다”는 뉴스를 볼 때, 어떤 층에서 어떤 문제가 발생했는지 쉽게 이해할 수 있어요.

✔ 항공 정보 파악 • 비행기가 흔들리지 않게 높은 고도로 올라간다? 성층권의 특성을 알고 있다면, 왜 그런지 금방 이해돼요.

✔ 자녀 과학 교육에도 도움 • 초등~중학생 과학 교과서에서 자주 등장하는 개념이에요. 지층, 대기, 기상 현상을 설명할 때 매우 유용한 배경지식이죠.

✔ 우주 뉴스나 다큐멘터리 이해 • 위성 발사, 우주선 궤도 진입 뉴스에서 ‘지상 500km 진입’이라는 말은 열권에 들어갔다는 뜻이에요. 어느 층을 지나 우주로 향하는지 감 잡을 수 있어요.

이처럼 대기권은 과학 지식 이상의 실생활 활용 가치가 높은 개념이에요.

 

지구를 지키는 공기층, 대기권을 이해하자 대기권은 우리가 무심코 숨 쉬는 공기 너머, 지구를 보호하고, 생명과 기술을 가능하게 해주는 보이지 않는 방패이자 무대입니다. 각 층이 서로 다른 기온 변화와 역할을 가지고 날씨를 만들고, 생명을 지키고, 우주와 연결해주는 역할을 해요. 대기권을 이해하면, 그저 하늘을 올려다보는 것만으로도 지구의 시스템과 연결된 소중한 흐름을 느낄 수 있어요. 오늘 하늘을 올려다보며 “저 위에는 어떤 층이 있을까?” 한 번쯤 생각해보는 시간, 가져보면 어떨까요? ☁️